구인구직

[기타] 안녕하세요 ABN 악용 사례 피해& 신고 &상담 하고 있습니다 연락 주세요

Kiki1995
2025.05.07 13:20 1,409 0

본문

호주에서 ABN(호주 사업자 번호, Australian Business Number)으로 일하는 경우에도 부당한 사례가 발생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악용됩니다:



1. 위장 프리랜서 (Sham Contracting)
• 정의: 고용주가 근로자를 직원으로 고용하지 않고 ABN을 요구하면서 “프리랜서”로 위장시키는 경우.
• 실제 상황 예시:
• A 피자 가게에서 배달원이 매일 정해진 시간에 출근하고, 사장의 지시에 따라 일하고, 매주 일정한 급여를 받음.
• 하지만 사장은 “넌 ABN 있으니까 contractor(계약자)야”라고 주장함.
• 문제점: 이 경우 실질은 직원인데 ABN만 쓰고 있어서 퇴직금(superannuation), 최저임금, 휴가, 병가, 워컴(산재) 등의 법적 권리를 박탈당함.



2. 고용주가 비용을 절감하려고 ABN 요구
• 이유: 고용주가 PAYG(세금 원천징수)나 superannuation(퇴직연금)을 피하려고 ABN 계약을 선호.
• 결과: ABN 노동자는 세금, 건강보험(메디케어 레비), 연금 등을 스스로 관리해야 하며, 소득이 적어도 그런 부담이 생김.



3. 워홀러/학생비자 대상 악용
• 상황: 영어가 서툴거나 노동법에 익숙하지 않은 워킹홀리데이 비자 소지자나 유학생들에게 ABN 계약을 강요.
• 예시: 카페, 청소, 농장, 배달 등의 일이 많음.
• 문제점: 근로 조건이 불법적으로 열악해도 불만 제기 어려움. 종종 불법임금(underpayment) 피해.



호주 정부의 입장
• Fair Work Ombudsman(공정근로옴부즈맨)은 이런 sham contracting을 명확히 불법으로 간주하며, 위반 시 고용주에게 벌금과 배상 명령을 내릴 수 있습니다.
• 실질적으로 **근로자(employee)**인지를 판단할 때는 다음 요소를 봅니다:
• 누가 업무를 지시하는가?
• 장비는 누가 제공하는가?
•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서 일하는가?
• 정기적인 급여를 받는가?



필요하다면 호주 내 노동권 보호기관 연락처나 신고 방법도 알려드릴 수 있어요.
사례 1: ABN 요구 + 급여 미지급 (청소업, 워홀러)
• 배경: 한 워킹홀리데이 비자 소지자(한국인 여성)는 시드니에서 청소 일을 하기로 하고, 고용주가 “ABN이 있어야 급여 줄 수 있다”고 말해 ABN을 급하게 발급.
• 실제 상황: 매일 정해진 시간에 일하고, 장비도 업체가 제공했으며, 명백히 ‘근로자’의 형태였음.
• 문제 발생: 일한 뒤 약속된 급여를 받지 못함. 고용주는 “ABN이니까 네가 사업자고, 고객이 돈을 안 줬다”는 핑계를 댐.
• 결과: Fair Work Ombudsman에 도움을 요청해 지급받음.

→ 교훈: ABN을 발급받았더라도, 근로 실태가 ‘직원’에 가까우면 고용주에게 법적 책임이 있음.



사례 2: Uber Eats 배달 – ABN 프리랜서의 회색지대
• 배경: 한 유학생(한국인)은 Uber Eats 배달을 하며 ABN을 이용해 ‘독립 계약자(contractor)’로 일함.
• 실제 문제: 교통사고 발생 시 Uber 측은 산재보상을 제공하지 않음. 보험도 본인이 별도로 들어야 했음.
• 부당함: 노동시간과 수익 구조는 Uber가 앱을 통해 사실상 ‘통제’하지만, 법적으로는 근로자로 인정받기 어려움.
• 결과: 플랫폼 노동 관련 규정 미비로 보상이나 권리 보호가 거의 없었음.

→ 교훈: ABN 기반 ‘플랫폼 노동자’는 고용 안정성과 복지 사각지대에 놓이기 쉽다.



사례 3: 카페 아르바이트 – 위장도급
• 배경: 브리즈번의 한 한인 카페에서 한국인 유학생에게 “ABN으로 하면 시급 $25 줄 수 있다”고 제안.
• 실태: 출퇴근 시간 고정, 유니폼 제공, 사장이 실시간 지시. 즉 ‘근로자’였음.
• 문제: 시급은 현금으로 주며, 근무 중 다친 손에 대해 치료비도 지원 안 해줌. ABN을 핑계로 “개인이 알아서 하라”는 식.
• 결과: 노동청 신고 후 카페가 벌금 처벌 받음.

→ 교훈: ABN이라는 명목으로도 ‘직원’처럼 일하면 근로자로 볼 수 있으며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음.
사례 4헤어샵에서 ABN 강요 – 사실상 직원
• 배경: 시드니 한인타운에 있는 미용실에서 한국인 워홀러 A씨를 “독립 디자이너”라고 하며 ABN 발급을 요구.
• 실제 업무: 정해진 스케줄에 출근, 손님은 가게가 배정, 샵의 장비 사용, 수수료 기반 월급.
• 문제점: ABN 명목으로 퇴직금, 휴가, 초과근무 수당 없음, 아플 때도 쉬지 못함.
• 결과: 나중에 고객 클레임이 발생하자 모든 책임을 A씨에게 떠넘김. 법적으로는 고용주가 책임져야 할 상황이었음.

→ 이 케이스는 실질적으로 ‘직원’이었기에 위장계약(sham contracting)에 해당하며, Fair Work Ombudsman에 신고 가능함.



사례 5 :뷰티살롱 견습생 → ABN → 무급 인턴 사기
• 배경: 한 뷰티살롱에서 “견습생이니까 먼저 경험 쌓자”며 ABN 발급 유도.
• 내용: 몇 주간 무급으로 일하게 하고, 그 후 “네가 프리랜서니까 클라이언트 직접 구해야 한다”며 급여를 주지 않음.
• 문제점: 고객은 매장에서 배정했고, 실질은 직원이었음. 미용사 책임만 지고 권리는 없음.
• 결과: 고용주는 나중에 연락도 끊고 폐업. ABN만 남아 세금 신고까지 본인이 떠안음.

→ 훈련 명목으로 ABN 요구 → 사실상 근로 착취로 법 위반.

사례 6: 사고 났지만 산재 보상 없음 – ABN이면 ‘자영업자’ 취급
• 배경: B씨는 한 목공 팀에서 하청 형태로 일하면서 ABN을 통해 대금을 받음.
• 사고: 작업 중 손가락이 기계에 찔려 큰 부상. 병원 치료와 휴업 필요.
• 문제점: 고용주는 “너 ABN이면 내 직원 아니야”라며 산재 보험 청구 불가하다고 주장.
• 결과: 보험 미가입 상태였고, 본인 부담으로 치료비 전액 지불.

→ ABN이면 WorkCover(산재보험)에서 제외되므로 반드시 본인 명의 보험 가입 필요.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제목
young 2025.05.10 583
Cong2 2025.05.10 693
Aus123 2025.05.10 597
나다딸기왕 2025.05.10 692
sunshinekor 2025.05.10 644
서정 2025.05.10 571
RoyalDia 2025.05.10 550
jumparound 2025.05.10 1,146
쿠라밀턴 2025.05.10 598
meatbank 2025.05.10 607
wjdgns 2025.05.10 621
YSushi 2025.05.10 1,371
Mihyang 2025.05.10 647
JLTL 2025.05.10 580
brissushi 2025.05.10 849
화룡 2025.05.10 562
효선 2025.05.10 578
효선 2025.05.10 599
정희 2025.05.10 778
yysj486 2025.05.10 678
thebest 2025.05.10 892
insight1982 2025.05.10 496
Renno 2025.05.10 793
CluckinGoodness 2025.05.10 744
Jenny78 2025.05.10 743
Maggie8888 2025.05.10 498
Topsushi 2025.05.10 570
shincg0505 2025.05.10 723
cleaner66 2025.05.10 733
뇽쓰 2025.05.10 761
pendlton 2025.05.10 850
J 2025.05.10 734
young 2025.05.09 604
JohnnyHS 2025.05.09 721
Maggie8888 2025.05.09 737
T5Massage 2025.05.09 595
MaruGrillHouse 2025.05.09 769
Ohora 2025.05.09 695
greengrass 2025.05.09 835
케이프레쉬마트시티점 2025.05.09 808
Chouette 2025.05.09 1,160
콩이맘 2025.05.09 999
Kellys 2025.05.09 960
화룡 2025.05.09 658
jjizo 2025.05.09 592
Sap888 2025.05.09 702
효선 2025.05.09 616
효선 2025.05.09 663
Hannahk 2025.05.09 810
쿠라밀턴 2025.05.09 634